유튜브속으로

0.7명의 초저출산 국가! 대한민국의 출산에 대한 변경된 국가정책!! 꼭 숙지하세요~~

네오류이 2023. 11. 16. 23:35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MFH2g0ZrO9M&list=PLU5S9V28H0Nuz8SW1BClZ51X-NtHd4Rwg&index=72

 

https://www.youtube.com/@1under

 

1분미만

핵심만 빠르게 한국인의 바쁜일상을 채워드립니다 Copyright(c)2020 1분미만 All rights reserved 제보 / 비즈니스 / 기타 문의 : one1miman@gmail.com

www.youtube.com

요즘 엄빠들이 낳자마자 달려가는 이유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0.7명. 전세계적으로 봐도 너무 낮은 수치인데요...
정부에서도 초긴장 상태라고 합니다.
기존에 실효성이 전혀 없는 정책에서 좀더 한단계 진보한거 같아보이는데요.
저의 최애 채널인 "1분미만" 에서 아주아주 정리를 잘해주셨어요~
아주 짧고 굵게 설명을 해주셨으니 꼭 영상 보아 주세요~


 

 

23년 1월부터 시행중인 "부모급여"
이걸 24년도에는 사진처럼 월 100만원 지원한다고 합니다.
그래도 저정도 금액이면 체감이 좀 되네요~
저도 예전에 정부에서 카드 받아서 썼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는 잘 기억이 안나지만 30민원이였던거 같던데..

 

 

 

아, 그리고 자녀 출생일 기준으로 60일이내이니 꼭 기억하세요~

 

 

 

그리고, 신생아 때는 여린이집에 아기를 잠시 맞길 수 없었는데 이것도 이제 가능하네요.
시간당 1천원이고 월 80시간이니 이 부분이 꽤 괜찮은 정책 같네요.
예전에는 신생아는 안되었었는데 이제는 그 부분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어린이집 입소 순위에서 첫째의 연령제한이 있었는데 이 부분도 완전 폐지가 되었디고 합니다.
아마 신생아 수가 워낙 낮으니 어느정도 여유(?)가 생겨서 그런가?
아니면 똥줄이 탄건가? 여튼, 이부분도 중요한 키포인트이네요

 

 

 

어린이집에 대한 보육료 추가지원 부분도 있네요. 어학이나 예술 쪽 같은데..

 

 

육아종합 지원센터를 통해 서비스가 이용가능한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으니 이 부분도 참고해 주세요.

 


- 결론 -

사실. 위 내용들은 부모들이 아이를 낳지 않은 이유에 부합하지는 않은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도 알고 있을거라 생각은 드는데~~ 아이를 낳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 즉, 주거에 대한 안정성이 그 첫번째 이유겠죠...
그렇다고 지방에서 키우기도 원하지 않고요... (지방에 월세 1만원 아파트도 나오고 있으니..)
과밀집 현상에 의한 집값상승!! 그에 따르지 못하는 급여... 
이미 졸업과 함께 하는 채무부채!! 

그리고,
과거에는 내처지를  비교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에 가난해도 아이를 많이 낳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메스미디어의 발전과 SNS를 통한 상대적 박탈감! 
그것 때문에 내 옆의 친구보다 못사는 것 같은 상실감이 지금의 저출산을 부추기는 가장 큰 이유라 생각이 되요.

또 한가지 더 있다면, 양육을 하면서 일도 해야하는 엄마의 고초가 이 모든 상황을 만든다고 생각이 드네요...

그냥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저로서는 없다보니.. 주저리 주저리 해 보았어요~~

여러분의 생각도 궁금하네요~~ 댓글로 써봐주세요~~ ^^


편안한 저녁시간 되세요~~~

 

 

728x90
반응형